1장. 통합의 기본
1.1 소개
1.2 통합 전략
1.2.1 메시징 패턴
1.2.2 전통적인 프로그래밍 모델
1.3 독립형 메시징 모델
1.4 요약
2장. 기초 개념
2.1 소개
2.2 메시지
2.2.1 메시지 분해
2.2.2 일반 구현
2.3 메시지 채널
2.3.1 채널 선언
2.4 엔드포인트
2.4.1 서비스 액티베이터 엔드포인트 예제
2.4.2 예제
2.5 요약
3장. 메시지 채널
3.1 소개
3.2 메시지 채널
3.2.1 메시지 수신
3.2.2 큐 채널
3.2.3 우선순위 채널
3.2.4 랑데뷰 채널
3.2.5 발행구독 채널
3.2.6 직행 채널
3.2.7 집행 채널
3.2.8 널 채널
3.3 요약
4장. 엔드포인트
4.1 소개
4.2 공통 엔드포인트
4.2.1 서비스 액티베이터
4.2.2 메시지 브릿지
4.2.3 메시지 인리처
4.2.4 게이트웨이
4.2.5 지연기
4.3 스프링 표현식
4.4 스크립트 지원
4.5 엔드포인트 API에 대해 궁금한 점
4.5.1 소비자
4.5.2 이벤트 기반 소비자
4.6 요약
5장. 변환기
5.1 소개
5.2 빌트-인 변환기
5.2.1 스트링 변환기
5.2.2 맵 변환기
5.2.3 변환기의 직렬화와 복원
5.2.4 JSON 변환기
5.2.5 XML 변환기
5.2.6 XPath 변환기
5.3 사용자 정의 변환기
5.3.1 Trade 맵 변환기
5.3.2 스트링 변환기
5.4 어노테이션 사용
5.5 요약
6장. 플로 컴포넌트
6.1 소개
6.2 필터
6.2.1 사용자 정의 필터 사용
6.2.2 프레임워크의 메시지 셀렉터 인터페이스 사용하기
6.2.3 어노테이션 사용
6.2.4 폐기된 메시지
6.3 라우터
6.3.1 PayloadTypeRouter
6.3.2 HeaderValueRouter
6.3.3 사용자 정의 라우터
6.3.4 수신자 목록 라우터
6.3.5 자격이 없는 메시지
6.3.6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라우터
6.4 분배기
6.4.1 사용자 정의 분배기
6.4.2 AbstractMessageSplitter의 사용
6.4.3 어노테이션 사용
6.4.4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어나는 분배기 작업
6.5 애그리게이터
6.5.1 전략
6.5.2 상호관계 전략
6.5.3 릴리즈 전략
6.5.4 메시지 스토어
6.6 리시퀀서
6.7 요약
7장. 어댑터
7.1 소개
7.2 파일 어댑터
7.2.1 네임스페이스 사용
7.2.2 독립형 파일 리더
7.2.3 아웃바운드 어댑터
7.2.4 독립형 파일 어댑터
7.3 FTP 어댑터
7.3.1 세션 팩토리
7.3.2 인바운드 FTP 어댑터
7.3.3 아웃바운드 FTP 어댑터
7.4 JMS 어댑터
7.4.1 인바운드 어댑터 : 메시지 수신
7.4.2 메시지 발행 : 아웃바운드 어댑터
7.5 JDBC 어댑터
7.5.1 인바운드 JDBC 어댑터
7.5.2 아웃바운드 JDBC 어댑터
7.6 요약